* 참고! 윈도우 8 과 윈도우 7 의 가상 디스크 설치 방법은 동일하며, VHDX(윈도우 8 만 지원) 의 생성법도 VHD 와 동일합니다. VHDX 는 파일 확장자만 VHDX 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설치 DVD 로 부팅하여 윈도우의 설치를 시작합니다. 윈도우를 설치할 파티션을 설정하는 단계까지 왔다면 VHD 또는 VHDX(이하 VHD 로 통일) 파일을 생성할 파티션을 적절히 준비합니다. 파티션을 새로 포맷을 하거나 그런 것은 개인의 판단에 맡깁니다.
파티션의 준비를 모두 마쳤으면 VHD 를 생성하기 위해 Shift + F10 을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되었으면 DiskPart 를 통해 VHD 파일을 위치시킬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를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이는 디스크와 파티션 구성에 따라 드라이브 문자가 어떻게 배열되어 있을 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이 때 파티션(볼륨)은 용량 등의 정보를 통해 구별하십시요. 다음의 명령을 차례로 내려 드라이브 문자를 확인합니다.
VHD 파일을 생성할 드라이브 문자를 파악했으면 이제 해당 파티션에 VHD 가상 디스크 파일을 생성하여 시스템에 연결해야 합니다. 계속하여 다음의 명령을 차례로 내려줍니다. [이 때 명령에 포함된 C: 는 자신이 파악한 VHD 를 위치시킬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이며, 글에서는 VHD 폴더 안에 Win7.vhd 파일로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윈도우를 설치할 VHD, VHDX 가상 디스크의 준비를 모두 마쳤습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종료하고 새로 고침을 클릭하면 방금 생성한 가상 디스크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파티션 생성과 포맷은 윈도우 설치가 알아서 자동으로 하니 바로 선택 후 윈도우의 설치를 시작합니다.
나머지 윈도우의 설치 과정은 기본적인 윈도우 설치 과정과 동일하니 알아서 마치세요.
파티션의 준비를 모두 마쳤으면 VHD 를 생성하기 위해 Shift + F10 을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되었으면 DiskPart 를 통해 VHD 파일을 위치시킬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를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이는 디스크와 파티션 구성에 따라 드라이브 문자가 어떻게 배열되어 있을 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이 때 파티션(볼륨)은 용량 등의 정보를 통해 구별하십시요. 다음의 명령을 차례로 내려 드라이브 문자를 확인합니다.
diskpart
list volume
exit
exit
VHD 파일을 생성할 드라이브 문자를 파악했으면 이제 해당 파티션에 VHD 가상 디스크 파일을 생성하여 시스템에 연결해야 합니다. 계속하여 다음의 명령을 차례로 내려줍니다. [이 때 명령에 포함된 C: 는 자신이 파악한 VHD 를 위치시킬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이며, 글에서는 VHD 폴더 안에 Win7.vhd 파일로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md c:\vhd
└ C: 드라이브 루트에 [VHD] 라는 폴더를 생성. 이 때 C: 드라이브는 위에서 찾은대로 여러분에게 맞게 입력해야 하며, 폴더 이름은 여러분이 원하는대로 적절히 그러나 꼭 영문과 숫자로만 구성. [폴더 이름에 공백(띄어쓰기)는 없는 게 좋음]
diskpart
└ C: 드라이브 루트에 [VHD] 라는 폴더를 생성. 이 때 C: 드라이브는 위에서 찾은대로 여러분에게 맞게 입력해야 하며, 폴더 이름은 여러분이 원하는대로 적절히 그러나 꼭 영문과 숫자로만 구성. [폴더 이름에 공백(띄어쓰기)는 없는 게 좋음]
diskpart
create vdisk file="c:\vhd\win7.vhd" maximum=30720 type=expandable
attach vdisk
exit
└ 30GB(30720MB) 짜리 VHD 가상 디스크를 C:\VHD\Win7.vhd 로 생성. 이 때 C: 드라이브는 여러분에게 맞게 입력하며 VHD 가상 디스크의 크기는 Maximum 에 MB 단위로 원하는대로 적절히 입력. 마찬가지로 VHD 파일의 이름은 반드시 영문과 숫자로만 구성. [마찬가지로 파일 이름에 공백은 없는 게 좋음]attach vdisk
exit
이제 윈도우를 설치할 VHD, VHDX 가상 디스크의 준비를 모두 마쳤습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종료하고 새로 고침을 클릭하면 방금 생성한 가상 디스크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파티션 생성과 포맷은 윈도우 설치가 알아서 자동으로 하니 바로 선택 후 윈도우의 설치를 시작합니다.
나머지 윈도우의 설치 과정은 기본적인 윈도우 설치 과정과 동일하니 알아서 마치세요.
간혹 가상 디스크에 윈도우를 설치하려는 경우 이러한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가 있는데, 무시하시고 확인을 클릭하시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이렇게 VHD, VHDX 가상 디스크에 윈도우의 설치를 마친 후 diskmgmr.msc 를 실행하여 확인해보면 윈도우가 설치된 C: 드라이브의 디스크가 에메랄드 색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에메랄드 색으로 표시되는 디스크는 가상 디스크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보이면 가상 디스크에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설치되고 부팅까지 완료된 것입니다.
디스크 관리에서 가상 디스크는 실제 디스크와 디스크 아이콘의 색이 다르다.
또한 가상 디스크 파일을 생성했던 드라이브를 확인해보면 자신이 생성한대로 가상 디스크 파일이 존재하고 있으며, 해당 가상 디스크 파일은 현재 부팅된 상태이기 때문에 동적 확장 형식(Expandable)으로 생성하였다 할 지라도 최대 크기(Maximum) 상태로 확장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윈도우가 종료되면 다시 원래의 크기로 되돌아 감]
부팅이 진행된 가상 디스크 파일의 모습.
어떻습니까? 윈도우 설치 과정 중간 가상 디스크를 준비하고 윈도우를 설치하는 것 그리 어렵지 않죠? 참고로 만약 현재 윈도우를 사용 중이고 멀티 부팅용 윈도우를 VHD/VHDX 가상 디스크에 추가로 설치하고자 한다면 이 방법보다는 간단하게 윈도우에서 곧바로 설치를 진행할 수 있는 아래의 방법을 추천합니다.
그럼 잘 사용하세요. 이번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
블로그 방문자도 2500을 넘어서 가고 있으시군요.^^
좋은 글 보고 갑니다~
저같은 경우 클럽박스에서 잔뜩 다운로드 받아놓고 잘 때는 최대절전모드로 해놓고 일어나서 다시 받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상황이냐면
1. vhd를 설치할 때 루트에 설치 ---> c:\win7.vhd
인데
이렇게 바꿀 수도 있나요?
2. 캐플님 처럼 vhd폴더 만든후 vhd 파일이동 ---->c:\vhd\win7.vhd
제가 처음에 vhd폴더를 만들지 않고 그냥 루트 상태에다가 vhd를 만들어 설치를 했는데
캐플님 글을 보니 vhd폴더를 만들어서 그곳에 설치하는 것이 더 깔끔하게 정리가 될 것 같아요.
vhd파일을 이동한 후 재부팅했을 때 윈도우 정상진입이 되도록 할 수 있는지요?
diskpart
list volume
exit
윈도우 PE 상태에서 VHD 파일이 위치한 드라이브가 C: 라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작업하시면 됩니다.
[bb]VHD 파일 옮기기[/bb]
md C:\VHD
move C:\Win7.vhd C:\VHD\
[bb]부팅 항목 수정하기[/bb]
bcdedit /set {default} device vhd=[C:]\VHD\Win7.vhd
bcdedit /set {default} osdevice vhd=[C:]\VHD\Win7.vhd
이렇게만 작업하시면 됩니다. 첨언하자면 이 때 bcdedit 명령의 GUID 인 {default} 는 현재 윈도우가 하나라면 당연히 기본 부팅 항목일테니 {default} 일테고요. 현재 멀티 부팅 상태라면 다를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땐 매개 변수 없이 bcdedit 명령을 내려서 식별자(Identifier) 부분을 확인하시고, 그 식별자를 {default} 부분에 넣으시면 됩니다.
=>
PC에 디스크가 SSD 한개만 있고
USB에 있는 PE로 부팅한다면
PE부팅 후에 SSD를 파티션하고 VHD 만든후 VHD 연결하고(G: 로 연결됨)
ImageX로 윈도우 Apply.
이와같은 경우 BCD 영역을 만들수 가 있는지요=> BCDBOOT G:\Windows /S C: /l ko-kr
BCD 영역은 만들어 지는데 BCDEDIT를 실행하면
C:\>bcdedit
부팅 구성 데이터 저장소를 열 수 없습니다.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런 메세지만 나오는데요 뭐가 잘못됐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활성화하니 부팅이되네요
그런데 BCD 데이터는 어디로 저장이된건가요
아무리 찾아봐도 안보이네요
수고하세요.
감사합니다
[box-b]diskpart
select volume=c:
active[/box-b]
그리고 재부팅하여 C: 드라이브가 정상적으로 시스템 파티션으로 인식이 되면 bcdedit 에서도 인식이 될 겁니다.
p.s 블로그 댓글 환경 테스트 도중 답변 시간이 변경되어 목록이 아래로 밀려버렸네요. ^^;
그다음 진행이 안돼네요...
새 파티션을 만들거나 기존 파티션을 찾을 수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설치 로그 파일을 참조하세요.
라고 나오며 설치가 안됩니다.
DVD 로 구워서 해도 그렇네요. 부팅 USB 도요..
위의 내용대로 구성한 하드디스크를 통째로 또다른 하드디스크로 복사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우선 제가 시도한 방법은 HDClone 프로그램으로 하드디스크 카피를 하였는데 부팅이 되질 않구요...
두번째 시도한 방법은 위와같은 방법대로 셋팅후 먼저 셋팅한 하드의 가상디스크 vhdx 파일을 복사하였는데 이방법도 부팅실패네요.
파일카피후에 뭔가 부팅영역쪽에 설정을 잡아줘야되는건지...
댓글내용도 전부 읽어보고 해보았는데도 실패네요 ㅠㅠ
이렇게 하려는 이유는 똑같은 하드디스크가 여러개여서 완벽한 카피본?을 만들기 위함입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