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SS Ghost 의 기초
[GSS - Ghost] 새롭게 고스트의 정리를 다시 시작하며
[GSS - Ghost] 고스트의 역사와 원조 고스트
[GSS - Ghost] 고스트 11.5 의 구성
[GSS - Ghost] 윈도우에서 고스트를 실행하는 방법과 비트 버전의 깔맞춤이 필요한 이유
[GSS - Ghost] 윈도우 외에서의 작업이 필요할 때 가장 간단하게 고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GSS - Ghost] 고스트 기초 - GHO 백업 이미지 파일과 고스트 백업 구조의 이해
[GSS - Ghost] 고스트 기초 - 명령줄 모드와 그래픽 모드의 이해, 그래픽 모드의 간단한 조작법
[GSS - Ghost] 고스트 기초 - 명령줄 모드 작업의 기초, -clone 스위치의 이해
[GSS - Ghost] 고스트의 역사와 원조 고스트
[GSS - Ghost] 고스트 11.5 의 구성
[GSS - Ghost] 윈도우에서 고스트를 실행하는 방법과 비트 버전의 깔맞춤이 필요한 이유
[GSS - Ghost] 윈도우 외에서의 작업이 필요할 때 가장 간단하게 고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GSS - Ghost] 고스트 기초 - GHO 백업 이미지 파일과 고스트 백업 구조의 이해
[GSS - Ghost] 고스트 기초 - 명령줄 모드와 그래픽 모드의 이해, 그래픽 모드의 간단한 조작법
[GSS - Ghost] 고스트 기초 - 명령줄 모드 작업의 기초, -clone 스위치의 이해
2. GSS Ghost 로 작업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디스크 복사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디스크 백업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디스크 복원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파티션 복사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파티션 백업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파티션 복원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볼륨을 복사, 백업, 복원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GHO 이미지 파일의 오류 검사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디스크의 오류 검사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디스크 백업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디스크 복원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파티션 복사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파티션 백업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파티션 복원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볼륨을 복사, 백업, 복원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GHO 이미지 파일의 오류 검사하기
[GSS - Ghost] 고스트를 통해 디스크의 오류 검사하기
3. GSS Ghost 작업시 기본적으로 알아둬야 할 내용들
[GSS - Ghost] 고스트 작업 전 디스크의 순서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
[GSS - Ghost] 고스트는 활성 파티션을 어떻게 처리하는가?
[GSS - Ghost] 고스트는 주 파티션과 논리 드라이브를 어떻게 처리하는가?
[GSS - Ghost] 사용 중인 디스크, 파티션, 볼륨이 작업 개체일 때 고스트는 어떻게 작업하는가?
[GSS - Ghost] 원본과 다른 크기의 디스크에 복사, 복원을 진행할 때 대상 디스크의 파티션 크기
[GSS - Ghost] 고스트는 활성 파티션을 어떻게 처리하는가?
[GSS - Ghost] 고스트는 주 파티션과 논리 드라이브를 어떻게 처리하는가?
[GSS - Ghost] 사용 중인 디스크, 파티션, 볼륨이 작업 개체일 때 고스트는 어떻게 작업하는가?
[GSS - Ghost] 원본과 다른 크기의 디스크에 복사, 복원을 진행할 때 대상 디스크의 파티션 크기
4. GSS Ghost 작업에 추가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들
[GSS - Ghost] CD/DVD 에 저장된 백업 이미지 파일을 원본으로 지정하는 간단한 방법
[GSS - Ghost] 단일 파티션인 상태에서 윈도우를 백업하는 방법
[GSS - Ghost] 하나의 디스크에서 여러 개의 파티션을 한 번에 백업하기
[GSS - Ghost] 여러 개의 볼륨을 한 번에 백업하고 복원할 때 알아두어야 할 점
[GSS - Ghost] 대상 디스크의 할당되지 않은 공간으로 파티션(볼륨)을 복사, 복원하기
[GSS - Ghost] V2I, IV2I, PQI 이미지를 고스트에서 지원하는 방법과 이를 통해 복원하기
[GSS - Ghost] 고스트 복원시 Boot.ini, BCD 의 변화
[GSS - Ghost] 부팅용 윈도우 7 디스크를 복사, 복원한 후 0xc000000e 부팅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GSS - Ghost] 고스트와 가상 디스크 - VMDK 디스크 이미지를 고스트에서 사용하기
[GSS - Ghost] 고스트와 가상 디스크 - 고스트 백업을 통해 VMDK 디스크 이미지 만들기
[GSS - Ghost] 두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고스트 작업하기 - 고스트 P2P 연결의 이해와 작업하기
[GSS - Ghost] 단일 파티션인 상태에서 윈도우를 백업하는 방법
[GSS - Ghost] 하나의 디스크에서 여러 개의 파티션을 한 번에 백업하기
[GSS - Ghost] 여러 개의 볼륨을 한 번에 백업하고 복원할 때 알아두어야 할 점
[GSS - Ghost] 대상 디스크의 할당되지 않은 공간으로 파티션(볼륨)을 복사, 복원하기
[GSS - Ghost] V2I, IV2I, PQI 이미지를 고스트에서 지원하는 방법과 이를 통해 복원하기
[GSS - Ghost] 고스트 복원시 Boot.ini, BCD 의 변화
[GSS - Ghost] 부팅용 윈도우 7 디스크를 복사, 복원한 후 0xc000000e 부팅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GSS - Ghost] 고스트와 가상 디스크 - VMDK 디스크 이미지를 고스트에서 사용하기
[GSS - Ghost] 고스트와 가상 디스크 - 고스트 백업을 통해 VMDK 디스크 이미지 만들기
[GSS - Ghost] 두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고스트 작업하기 - 고스트 P2P 연결의 이해와 작업하기
5. GSS Ghost 스위치 정리
[GSS - Ghost] -ver : 고스트의 버전을 확인하기
[GSS - Ghost] -sure : 고스트 작업 중간 사용자에게 묻지 않기
[GSS - Ghost] -fx, -rb : 고스트 작업이 끝난 후 어떻게 할 것인가의 여부 결정하기
[GSS - Ghost] -quiet, -blind : 고스트 작업시 작업 중인 내용과 화면 보이지 않기
[GSS - Ghost] -z : 고스트 백업시 GHO 백업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결정하기
[GSS - Ghost] -split, -span, -auto, -noauto, -cns : 고스트 백업시 백업 이미지 파일을 원하는 크기로 분할 저장하기
[GSS - Ghost] -pwd : 백업 이미지 파일에 암호를 지정하여 백업 이미지 파일 보호하기
[GSS - Ghost] -lockinfo, -locktype : 백업 이미지 파일을 특정 시스템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잠그기
[GSS - Ghost] -sze : 디스크 복사, 복원시 대상 디스크에 생성되는 파티션의 크기를 조절하기
[GSS - Ghost] -femax : 디스크 복사, 복원시 확장 파티션이 디스크의 남은 공간 전체를 할당하도록 만들기
[GSS - Ghost] -f32, -f64, -fatlimit : 복사, 복원시 FAT16 파일 시스템을 가진 파티션에 대한 대상에서의 처리 결정하기
[GSS - Ghost] -cvtarea : 복사, 복원시 FAT32 -> NTFS 변환을 위한 임시 파일 생성하기
[GSS - Ghost] -noautoskip : 백업, 복사시 자동 제외 파일들 포함시키기 - pagefile.sys, hiberfil.sys 등
[GSS - Ghost] -finger, -hasfingerprint, -fnf : 고스트 핑거 프린트 정보의 확인과 제거
[GSS - Ghost] -fdsp, -fdsz : 디스크 복사, 복원시 디스크 서명의 변화와 대처법
[GSS - Ghost] -align, -or : 디스크 복사, 복원시 대상 디스크의 파티션 정렬 방식 결정하기
[GSS - Ghost] -fmbr, -fgpt : 디스크 복사, 복원시 대상 디스크의 형식 지정하기
[GSS - Ghost] -pmbr : 디스크 복사, 복원시 대상 디스크의 MBR 코드 영역 유지하기
[GSS - Ghost] -ib : 디스크 백업, 복원, 복사시 부트 트랙 전체를 작업에 포함시키기
[GSS - Ghost] -ia : 백업, 복사시 섹터 바이 섹터 방식으로 진행하기 - Sector by Sector
[GSS - Ghost] -id : 디스크 백업, 복사시 완벽하게 동일한 복제 대상 만들기 - Forensic
[GSS - Ghost] -ffi, -ffs, -ffx, -fni, -fns, -fnx -noide, -noscsi : 고스트의 디스크 액세스 제어하기
[GSS - Ghost] -forceusb, -force1394, -nousb, -no1394 : USB, FireWire 컨트롤러 제어하기
[GSS - Ghost] -fcr, -crc32 : 백업시 CRC32 체크 파일을 생성하기, 변조 여부 검사하기
[GSS - Ghost] @filename, -script, -batch : 고스트 스크립트를 통해 작업을 자동화하기
[GSS - Ghost] 고스트의 주요 설정을 Ghost.ini 파일로 저장하여 항상 적용되게 만들기
[GSS - Ghost] 고스트 스위치 정리 - 한글 [Symantec Ghost 8.0 Reference Guide]
[GSS - Ghost] 고스트 스위치 정리 - 영문 [Symantec Ghost 11.5 Implementation Guide]
[GSS - Ghost] -sure : 고스트 작업 중간 사용자에게 묻지 않기
[GSS - Ghost] -fx, -rb : 고스트 작업이 끝난 후 어떻게 할 것인가의 여부 결정하기
[GSS - Ghost] -quiet, -blind : 고스트 작업시 작업 중인 내용과 화면 보이지 않기
[GSS - Ghost] -z : 고스트 백업시 GHO 백업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결정하기
[GSS - Ghost] -split, -span, -auto, -noauto, -cns : 고스트 백업시 백업 이미지 파일을 원하는 크기로 분할 저장하기
[GSS - Ghost] -pwd : 백업 이미지 파일에 암호를 지정하여 백업 이미지 파일 보호하기
[GSS - Ghost] -lockinfo, -locktype : 백업 이미지 파일을 특정 시스템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잠그기
[GSS - Ghost] -sze : 디스크 복사, 복원시 대상 디스크에 생성되는 파티션의 크기를 조절하기
[GSS - Ghost] -femax : 디스크 복사, 복원시 확장 파티션이 디스크의 남은 공간 전체를 할당하도록 만들기
[GSS - Ghost] -f32, -f64, -fatlimit : 복사, 복원시 FAT16 파일 시스템을 가진 파티션에 대한 대상에서의 처리 결정하기
[GSS - Ghost] -cvtarea : 복사, 복원시 FAT32 -> NTFS 변환을 위한 임시 파일 생성하기
[GSS - Ghost] -noautoskip : 백업, 복사시 자동 제외 파일들 포함시키기 - pagefile.sys, hiberfil.sys 등
[GSS - Ghost] -finger, -hasfingerprint, -fnf : 고스트 핑거 프린트 정보의 확인과 제거
[GSS - Ghost] -fdsp, -fdsz : 디스크 복사, 복원시 디스크 서명의 변화와 대처법
[GSS - Ghost] -align, -or : 디스크 복사, 복원시 대상 디스크의 파티션 정렬 방식 결정하기
[GSS - Ghost] -fmbr, -fgpt : 디스크 복사, 복원시 대상 디스크의 형식 지정하기
[GSS - Ghost] -pmbr : 디스크 복사, 복원시 대상 디스크의 MBR 코드 영역 유지하기
[GSS - Ghost] -ib : 디스크 백업, 복원, 복사시 부트 트랙 전체를 작업에 포함시키기
[GSS - Ghost] -ia : 백업, 복사시 섹터 바이 섹터 방식으로 진행하기 - Sector by Sector
[GSS - Ghost] -id : 디스크 백업, 복사시 완벽하게 동일한 복제 대상 만들기 - Forensic
[GSS - Ghost] -ffi, -ffs, -ffx, -fni, -fns, -fnx -noide, -noscsi : 고스트의 디스크 액세스 제어하기
[GSS - Ghost] -forceusb, -force1394, -nousb, -no1394 : USB, FireWire 컨트롤러 제어하기
[GSS - Ghost] -fcr, -crc32 : 백업시 CRC32 체크 파일을 생성하기, 변조 여부 검사하기
[GSS - Ghost] @filename, -script, -batch : 고스트 스크립트를 통해 작업을 자동화하기
[GSS - Ghost] 고스트의 주요 설정을 Ghost.ini 파일로 저장하여 항상 적용되게 만들기
[GSS - Ghost] 고스트 스위치 정리 - 한글 [Symantec Ghost 8.0 Reference Guide]
[GSS - Ghost] 고스트 스위치 정리 - 영문 [Symantec Ghost 11.5 Implementation Guide]
6. GSS Ghost 벤치마크 정보
7. 고스트 포터플 자동 백업/복원 도구 - GARS Portable
[GSS - Ghost] 고스트 포터블 자동 백업/복원 도구 : GARS Portable
[GSS - Ghost] 고스트 포터블 자동 백업/복원 도구 : GARS Portable 로 간단한 자동 복구 구성하기
[GSS - Ghost] 고스트 포터블 자동 백업/복원 도구 : GARS Portable 로 간단한 자동 복구 구성하기
8. 고스트 자동 복구 시스템
WIM 이미지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고스트 자동 복구 부팅 환경 만들기
고스트 자동 복구 시스템 : 구축 및 테스트하기
고스트 자동 복구 시스템 : GARS Mini 소개 및 설치, 종합 메뉴얼
고스트 자동 복구 시스템 : 구축 및 테스트하기
고스트 자동 복구 시스템 : GARS Mini 소개 및 설치, 종합 메뉴얼
9. GSS 추가 프로그램 정보 [현재 미정리 링크 연결 X]
[GSS - Ghost] Ghost Explorer : GHO 백업 이미지 파일 탐색기, Ghost Explorer 의 사용법
[GSS - Ghost] OmniFs : NTFS 파티션에 위치한 파일을 관리하는 OmniFs 의 사용법
[GSS - Ghost] GhostCast Server : 고스트의 백업과 복원을 서버 - 클라이언트 환경으로 만들기, GhostCast Server 의 역활과 설정, 그리고 고스트로 캐스트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하기
[GSS - Ghost] Ghost Walker : 동일한 네트워크에 위치한 컴퓨터들에 동일한 윈도우를 복제할 때 발생하는 SID, 컴퓨터 이름 문제를 오프라인 상태에서 해결하기 위한 Ghost Walker 의 사용법
[GSS - Ghost] GhConfig : 오프라인 상태에서 윈도우의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GhConfig 의 사용법
[GSS - Ghost] GhRegEdit : 오프라인 상태에서 윈도우의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는 GhRegEdit 의 사용법
[GSS - Ghost] GDisk : GDisk 를 통해 디스크와 파티션 관리하기
[GSS - Ghost] OmniFs : NTFS 파티션에 위치한 파일을 관리하는 OmniFs 의 사용법
[GSS - Ghost] GhostCast Server : 고스트의 백업과 복원을 서버 - 클라이언트 환경으로 만들기, GhostCast Server 의 역활과 설정, 그리고 고스트로 캐스트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하기
[GSS - Ghost] Ghost Walker : 동일한 네트워크에 위치한 컴퓨터들에 동일한 윈도우를 복제할 때 발생하는 SID, 컴퓨터 이름 문제를 오프라인 상태에서 해결하기 위한 Ghost Walker 의 사용법
[GSS - Ghost] GhConfig : 오프라인 상태에서 윈도우의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GhConfig 의 사용법
[GSS - Ghost] GhRegEdit : 오프라인 상태에서 윈도우의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는 GhRegEdit 의 사용법
[GSS - Ghost] GDisk : GDisk 를 통해 디스크와 파티션 관리하기
다름이 아니라 요 근래 작업을 하면서 고스트를 쓰고 있는데
몇몇 오류 및 궁금한 부분 때문에 글을 남깁니다.
제가 보통 XP나 윈도우7의 원본 이미지 파일을 만들때
C와 D 로 두개의 파티션을 나눈 뒤 디스크 이미지를 만들었었는데요.
요 몇일 만들어둔 디스크 이미지 파일에서 C드라이브 파티션만 복구하고
작업을 완료한 뒤 복구한 시스템에서 고스트를 실행시키면
Grubxxxxx로 시작하는 도스화면의 오류창만 뜹니다.
그 중간엔 1TB.xxx 라고 적혀있기도 하구요.
그리고 마지막엔 >_라는 커맨드만 깜빡거려요.
이 때 사용한 고스트는 스누피 XP 부팅 고스트로
윈도우 부팅시 멀티부팅 메뉴 개념으로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고스트입니다.
이런 오류 때문에 요근래는 파티션만 살리지 않고 시간이 좀 더 걸려도
전체 디스크 이미지를 복원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오류가 뜨는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혹 파티션만 복구하기를 원하는 이미지라면 백업 이미지 또한 파티션만을 백업해둔
이미지 파일이어야 하는 건가요? 아니면 파티션 설정시 주파티션, 확장파티션으로 나눠둔
개념 때문에 그런걸까요?
한참 해결해보려고 해봤는데 확실히 이렇다 할 답을 알아내지도 못했고,
인터넷에서도 이러한 관련 질문, 해결법은 보이지 않네요 ㅠ
제가 만든 것도 아니고 정확한 구조를 몰라서 이게 확실한 해결책이 될 지는 모르겠지만 간단하게 부팅만 따로 담당하는 "시스템 예약 파티션" 과 같은 의미의 파티션을 따로 준비하여 사용해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됩니다. 윈도우 7 을 사용 중이시니 간단하게 파티션 축소를 통해 디스크의 마지막에 100~300MB 정도로 작게 파티션을 생성하고, 그곳으로 Bootmgr 과 NTLDR 부팅 구성을 옮긴 후 해당 파티션을 활성화시켜 사용하는 것이죠. 그러면 GRUB4DOS 도 그쪽으로 설치가 될테고, 그렇게 되면 따로 개별적인 파티션 복구에 더이상은 영향이 없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일단 그러한 방식으로 시도를 해보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링크가 깨진게 아니라 아직 관련글을 정리 안하신거죠?
글 잘보고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매번 배워만 가면서 염치없이 질문 하나만 드릴께요~
브랜드PC에 고스트 작업진행시, OEM파티션을 없애고 C와D 두개의 파티션만 생성후 이미지를 만들어서
OEM파티션이 있는 다른 PC에 작업할경우 OEM 파티션이 영향을 주는경우도 있는건가요..?
분명 하드는 500G인데...작업후 보니까 750G로 되어있더라구요..작업전의 D드라이브는 삭제되지 않고
그용량 그대로 E드라이브로 바뀌어서 남아있더군요..ㅜㅜ(작업전에 D드라이브가 250G였거든요.)
알고보니 기존의 C와OEM파티션이 ---> C,D로 되버리고 기존의 D--->E로 되버리고...
전 분명 원본 이미지는 C,D만 만들었는데...하드도 500G짜리가 750G 뻥튀기 되버리고 이게 뭔일이지..
그리고는 윈도우 상에서는 파티션 삭제도 안되더군요ㅜㅜ
이상하다 싶어서 보니까 작업전 PC의 파티션이 C,OEM,D 이렇게 구성되있더군요..
저 중간의 OEM파티션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생긴건가 싶어서...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어제 고스트 잘못사용해 잠못자고 공부중입니다. 이제껏 봐온 글중 최고로 정리가 잘되었있네요
백업 중요합니다.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정말 좋은 설명과 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이거 찾기 전까지는 완전 멘붕이었네요...ㅠㅠ
회사에서 고스트를 쓸 일이 생겨서 trial을 받고 메뉴얼을 찾는데 원하는 메뉴얼이 아니었어요...
좋은 설명들과 함께 정리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