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할 수 없는 이유와 바꾸는 방법
드라이브 문자를 관리하다 보면 종종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왜 생기는 것일까요? 결론부터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다음은 현재 윈도우에서 사용 중이기 때문에 드라이브 문자를 제거하거나 변경할 수 없는 대표적인 예 입니다. 혹시 이에 속하는 드라이브의 문자를 변경하려고 하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 번 확인해 보시고 적절히 조치를 취해보시길 바랍니다.
1. 시스템 파티션 - 부트 매니저
윈도우 XP 의 경우 부트 매니저 구성이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시스템 파티션은 보시는 것과 같이 디스크 관리에서 시스템으로 표시해주기 때문에 바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부팅 파티션 - 윈도우 폴더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부팅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부팅 파티션은 디스크 관리에서 부팅으로 표시해줍니다.
3. 페이지 파일 파티션 - 페이지 파일
윈도우의 가상 메모리가(페이징 파일) 설정되어 있는 페이지 파일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페이지 파일 파티션은 디스크 관리에서 페이지 파일로 표시해줍니다.
4. 프로그램에서 사용 중인 파티션
위의 드라이브 문자를 바꿀 수 없는 세 가지 주요한 파티션들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간혹 드라이브 문자를 바꿀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윈도우 기능 중 일부가 현재 해당 드라이브를 사용 중이기 때문에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러한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윈도우는 우선 해당 프로그램과의 연결을 끊으려고 시도하지만 프로그램에서 끝까지 거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 문자의 제거나 변경이 안 되는 것입니다.
마치며
드라이브 문자가 변경되지 않는다면 시스템과 부팅 파티션을 제외한 나머지 두 가지 원인이 대부분입니다. 그렇기에 무작정 다른 방법들을 찾지 마시고(레지스트리 강제 변경) 먼저 원인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파악한 후 적절히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은 여기까지입니다. ^^
드라이브 문자를 관리하다 보면 종종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왜 생기는 것일까요? 결론부터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그것은 해당 드라이브를 현재 윈도우에서 사용 중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다음은 현재 윈도우에서 사용 중이기 때문에 드라이브 문자를 제거하거나 변경할 수 없는 대표적인 예 입니다. 혹시 이에 속하는 드라이브의 문자를 변경하려고 하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 번 확인해 보시고 적절히 조치를 취해보시길 바랍니다.
1. 시스템 파티션 - 부트 매니저
윈도우 XP 의 경우 부트 매니저 구성이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시스템 파티션은 보시는 것과 같이 디스크 관리에서 시스템으로 표시해주기 때문에 바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바꾸는 방법은?
윈도우 7
일단 윈도우 7 에서는 부트 매니저가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 파티션이라도 드라이브의 문자를 제거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디스크 관리를 통해 언제든지 드라이브 문자를 바꾸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XP
다음으로 윈도우 XP 의 경우 디스크 관리를 통해서는 시스템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를 바꿀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를 바꿔주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 변경하기
윈도우 7
일단 윈도우 7 에서는 부트 매니저가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 파티션이라도 드라이브의 문자를 제거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디스크 관리를 통해 언제든지 드라이브 문자를 바꾸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XP
다음으로 윈도우 XP 의 경우 디스크 관리를 통해서는 시스템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를 바꿀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를 바꿔주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 변경하기
* 주의 -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는 시스템 파티션과 부팅 파티션을 시스템 하나로 표시해 줍니다. 만약 따로 부팅 파티션이 보이지 않는다면 현재 시스템 파티션이 동시에 부팅 파티션이기 때문에 레지스트리를 통한 강제 변경은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관련 글 링크]
2. 부팅 파티션 - 윈도우 폴더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부팅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부팅 파티션은 디스크 관리에서 부팅으로 표시해줍니다.
바꾸는 방법은?
마찬가지로 부팅 파티션 또한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를 바꿔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부팅 파티션은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를 바꾸게 되면 이후 윈도우로 진입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임의로 바꾸려고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 변경하기
마찬가지로 부팅 파티션 또한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를 바꿔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부팅 파티션은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를 바꾸게 되면 이후 윈도우로 진입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임의로 바꾸려고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 변경하기
3. 페이지 파일 파티션 - 페이지 파일
윈도우의 가상 메모리가(페이징 파일) 설정되어 있는 페이지 파일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페이지 파일 파티션은 디스크 관리에서 페이지 파일로 표시해줍니다.
바꾸는 방법은?
페이지 파일 파티션의 경우 페이징 파일의 설정을 해제해주고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이를 적용해주면 이후 드라이브 문자를 바꿀 수 있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페이지 파일로 인해 드라이브 문자를 바꾸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먼저 윈도우 설정을 통해 잠시 페이지 파일을 해제하고 드라이브 문자를 바꾸신 후 다시 페이지 파일을 설정해 주는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페이지 파일의 설정을 바꾸는 방법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윈도우 7] 가상 메모리(페이징 파일) 관리하기
페이지 파일 파티션의 경우 페이징 파일의 설정을 해제해주고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이를 적용해주면 이후 드라이브 문자를 바꿀 수 있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페이지 파일로 인해 드라이브 문자를 바꾸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먼저 윈도우 설정을 통해 잠시 페이지 파일을 해제하고 드라이브 문자를 바꾸신 후 다시 페이지 파일을 설정해 주는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페이지 파일의 설정을 바꾸는 방법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윈도우 7] 가상 메모리(페이징 파일) 관리하기
4. 프로그램에서 사용 중인 파티션
위의 드라이브 문자를 바꿀 수 없는 세 가지 주요한 파티션들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간혹 드라이브 문자를 바꿀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윈도우 기능 중 일부가 현재 해당 드라이브를 사용 중이기 때문에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러한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윈도우는 우선 해당 프로그램과의 연결을 끊으려고 시도하지만 프로그램에서 끝까지 거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 문자의 제거나 변경이 안 되는 것입니다.
바꾸는 방법?
가장 좋은 방법은 윈도우를 아무런 프로그램도 시작하지 않는 안전 모드로 진입한 후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만약 안전 모드로 진입한 이후에도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할 수 없다면 마찬가지로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때는 반드시 드라이브 문자 변경 후 프로그램들의 실행이나 기능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 보시는 작업을 진행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윈도우를 아무런 프로그램도 시작하지 않는 안전 모드로 진입한 후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만약 안전 모드로 진입한 이후에도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할 수 없다면 마찬가지로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때는 반드시 드라이브 문자 변경 후 프로그램들의 실행이나 기능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 보시는 작업을 진행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드라이브 문자가 변경되지 않는다면 시스템과 부팅 파티션을 제외한 나머지 두 가지 원인이 대부분입니다. 그렇기에 무작정 다른 방법들을 찾지 마시고(레지스트리 강제 변경) 먼저 원인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파악한 후 적절히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은 여기까지입니다. ^^
★ [DiskPart] 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의 관리 - Assign, Remove
★ 왜?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할 수 없나요?
★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 변경하기
★ 레지스트리를 통해 노출을 원치 않는 드라이브를 탐색기에서 숨기고 접근을 막기
★ 특정 폴더를 드라이브로 인식시키는 방법(가상 드라이브) - Subst, 레지스트리
★ 왜?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할 수 없나요?
★ 레지스트리를 통해 강제로 드라이브 문자 변경하기
★ 레지스트리를 통해 노출을 원치 않는 드라이브를 탐색기에서 숨기고 접근을 막기
★ 특정 폴더를 드라이브로 인식시키는 방법(가상 드라이브) - Subst, 레지스트리
아직까지는 드라이브 문자 변경이 안되는 경우를 겪어 보지 못했지만,이 4가지 경우는 필히 명심해야겠네요.
나중에 변경이 안되는 경우를 만나서 당황하지 않으려면요.ㅎㅎ
사실 일반적으로 드라이브 문자를 바꿀만한 일은 크게 없죠.
XP 사용중이며 하드 1개를 C와 E드라이브로 나눠서 사용중이었습니다.
이유는 알 수 없는데 어느날 갑자기 E드라이브가 인식이 안되서 디스크 관리를 보니까
정상(알 수 없는 파티션)으로 분류 되있고 드라이브 문자가 없어졌습니다.
이런 경우에 물론 파티션을 지웠다가 다시 만들면 간단하겠지만...
안에 있던 파일들을 혹여 살릴 수 있다면 싶어서...
그냥 드라이브 문자만 지정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그건 단순히 드라이브 문자가 사라진게 아닌 파티션이 깨졌을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파티션 관리 프로그램이나 파티션 복구 프로그램 등을 통해서 복구하는 쪽으로 시도를 해보셔야 할 듯 하네요.
[img]http://img547.imageshack.us/img547/9962/91198266.png[/img]
위 같은 경우 포맷을 통한 재설치 이외에는 문자를 바꿀 수 없겠죠?
윈도우에서 곧바로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설치하셨나봐요. 강제로 바꿀 성질의 문제는 아닙니다. 재설치하셔야 겠네요.